뉴스데스크
김연국 기자

원전, 과연 값싼 에너지인가?
원전, 과연 값싼 에너지인가?
입력
2011-04-27 22:16
|
수정 2011-04-27 22:32
재생목록
◀ANC▶
세계 각국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원전 축소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원전 확대 정책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그 배경에는 원전이 가장 값싼 에너지라는 믿음이 자리하고 있는데요, 과연 그럴까요?
우리 원전 정책의 문제를 짚어보는 연속기획 마지막 순서, 김연국 기자입니다.
◀VCR▶
월성 원자력발전소입니다.
깊이 7.7미터의 거대한 수조 안에
쓰고 난 핵연료봉이 가득합니다.
폐연료봉도 치명적 방사능을 띈
고준위 폐기물이기 때문에,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해야 합니다.
◀SYN▶ 임해규 의원 (한나라당) - 한수원 관계자
"(1년이면 도대체 얼마나 많은 폐기물이
생긴다는 거야?)"
"이런 게 한 5천 개 정도 생깁니다."
"(1년에?)"
"물속에 보관합니다."
국내 21개 원전 안에 쌓아놓은
폐연료봉은 1,535만개.
물속에 두는 게 그나마 안전하지만,
공간이 모자라 649만 개는
땅 위에 빼놨습니다.
이마저도 5년 뒤부터는
더 쌓아놓을 곳도 없습니다.
한국 원전의 최대 골칫거리가 된 겁니다.
정부는 원전이 값싼 에너지라고
홍보합니다.
킬로와트 당 판매단가가 수력은 133원,
화력은 187원인데, 원자력은 막대한
폐기물 처리비용과 원전 폐쇄비용까지
합쳐도 39원에 불과하다는 겁니다.
하지만 계산법이 논란입니다.
◀INT▶ 양이원영/환경운동연합 기후에너지국장
"고준위 폐기물은 최소한 2-30만 년 이상
보관해야 해요. 방사선으로부터 생태계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하는데, 이 비용이
얼마나 들지 가늠할 수 없습니다."
정부는 일단
핵폐기물 처리비 3조6천억 원과
원전 폐쇄비 6조7천억 원이 필요하다고
계산해놨지만, 정작 모아놓은 돈은
없습니다. 고스란히 빚인 겁니다.
만약 일본처럼 사고가 터지면
천문학적 보상비와 복구비도 들어갑니다.
◀INT▶ 레베카 함스/EU 연방의원
"원자력은 경제적 측면에서, 현재
가장 비싼 에너지원이라는 것이
판명됐습니다."
우리 산업구조와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원전 포기는 안 된다는 현실론이
있습니다.
하지만 원전 확대 정책을
재검토해야 할 이유는 많습니다.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원전의
값싼 전기는, 사실은
위험비용을 미래세대에게 떠넘긴
결과일지 모릅니다.
MBC뉴스 김연국입니다.
세계 각국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원전 축소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원전 확대 정책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그 배경에는 원전이 가장 값싼 에너지라는 믿음이 자리하고 있는데요, 과연 그럴까요?
우리 원전 정책의 문제를 짚어보는 연속기획 마지막 순서, 김연국 기자입니다.
◀VCR▶
월성 원자력발전소입니다.
깊이 7.7미터의 거대한 수조 안에
쓰고 난 핵연료봉이 가득합니다.
폐연료봉도 치명적 방사능을 띈
고준위 폐기물이기 때문에,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해야 합니다.
◀SYN▶ 임해규 의원 (한나라당) - 한수원 관계자
"(1년이면 도대체 얼마나 많은 폐기물이
생긴다는 거야?)"
"이런 게 한 5천 개 정도 생깁니다."
"(1년에?)"
"물속에 보관합니다."
국내 21개 원전 안에 쌓아놓은
폐연료봉은 1,535만개.
물속에 두는 게 그나마 안전하지만,
공간이 모자라 649만 개는
땅 위에 빼놨습니다.
이마저도 5년 뒤부터는
더 쌓아놓을 곳도 없습니다.
한국 원전의 최대 골칫거리가 된 겁니다.
정부는 원전이 값싼 에너지라고
홍보합니다.
킬로와트 당 판매단가가 수력은 133원,
화력은 187원인데, 원자력은 막대한
폐기물 처리비용과 원전 폐쇄비용까지
합쳐도 39원에 불과하다는 겁니다.
하지만 계산법이 논란입니다.
◀INT▶ 양이원영/환경운동연합 기후에너지국장
"고준위 폐기물은 최소한 2-30만 년 이상
보관해야 해요. 방사선으로부터 생태계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하는데, 이 비용이
얼마나 들지 가늠할 수 없습니다."
정부는 일단
핵폐기물 처리비 3조6천억 원과
원전 폐쇄비 6조7천억 원이 필요하다고
계산해놨지만, 정작 모아놓은 돈은
없습니다. 고스란히 빚인 겁니다.
만약 일본처럼 사고가 터지면
천문학적 보상비와 복구비도 들어갑니다.
◀INT▶ 레베카 함스/EU 연방의원
"원자력은 경제적 측면에서, 현재
가장 비싼 에너지원이라는 것이
판명됐습니다."
우리 산업구조와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원전 포기는 안 된다는 현실론이
있습니다.
하지만 원전 확대 정책을
재검토해야 할 이유는 많습니다.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원전의
값싼 전기는, 사실은
위험비용을 미래세대에게 떠넘긴
결과일지 모릅니다.
MBC뉴스 김연국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