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고 백남준 유해 한국.미국.독일 나눠서 안치.장례식 금요일 뉴욕서[양효경]

고 백남준 유해 한국.미국.독일 나눠서 안치.장례식 금요일 뉴욕서[양효경]
입력 2006-01-31 | 수정 2006-01-31
재생목록
    [故 백남준, 한국.미국.독일에..]

    ● 앵커: 어제 타계한 백남준 씨의 유해는 고국인 우리나라와 주요 활동무대였던 미국, 독일 이 세 나라에 나눠서 안치하기로 했습니다.

    또 국내에 분향소가 마련됐습니다.

    양효경 기자입니다.

    ● 기자: 백남준 씨의 장례식은 사흘 뒤인 오는 금요일 뉴욕 맨해튼에서 있습니다.

    유해는 화장돼 고국인 한국과 주요 활동지였던 미국, 독일 등 세 나라에 나누어 안치됩니다.

    ● 켄 하쿠다(조카):백남준은 한국에 가기를 원했다, 그래서 유골의 대부분은 한국에, 나머지는 미국과 독일에 나누어 안치될 것이다.

    ● 기자: 국내에도 추모열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곳 국립현대미술관에 분향소를 설치하고 내일부터 추모객을 받을 예정입니다.

    다음 달에는 특별전시회도 열립니다.

    1003개의 모니터로 개천절을 상징한 다다익선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데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가 가득합니다.

    ● 김윤수(국립현대미술관장): 세계 유구한 사람들은 다, 웬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는데 우리나라 사람은 정작 모른단 말이에요.

    그래서 이번 서거를 계기로 백 선생님 특별전을 마련해서 ...

    ● 기자: 그가 남긴 작품 수는 900여 점.

    국내에는 150여 점이 있습니다.

    TV시리즈는 텔레비전으로 상징되는 현대문명과 자연과의 소통을 강조했고 시집 온 부처는 TV 안의 불상을 통해 서양 문물과 동양정신의 만남을 표현했습니다.

    이렇듯 소리나 동작을 이미지로 변환시키는 그의 선구적인 작업은 최근 후배 예술인들의 미디어 아트로 더욱 진화하고 있습니다.

    ● 김홍희 관장(쌈지 스페이스): 백남준이 처음부터 추구했던, 비디오를 통해서 추구했던 인터렉티브 아트의 어떤 기술적 결론에 이른 상태다 이렇게 봅니다.

    ● 기자: 경기도 용인에는 오는 5월쯤 백남준 미술관 건립이 시작되고 유족들도 백남준 재단을 설립하겠다고 밝혀 그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기리는 작업이 줄을 이을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양효경입니다.

    (양효경 기자)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