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전경 학생 등 도시락 이질환자 급속히 확산[최형문]

전경 학생 등 도시락 이질환자 급속히 확산[최형문]
입력 2001-12-10 | 수정 2001-12-10
재생목록
    [무섭게 퍼진다]

    ● 앵커: 도시락을 먹고 이질 증세를 보이는 사람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도 문제의 도시락을 먹은 300여 명이 설사증세를 보였습니다.

    최형문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오늘도 전경 17명과 학생 등 28명이 이질감염이 확실한 것으로 추가 보고돼 환자 수는 모두 80명으로 늘었습니다.

    특히 지난 2일 시위진압에 나섰던 전경 290여 명이 문제가 된 업체의 도시락을 먹은 다음 설사증세를 보이고 있어 대규모 감염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 전투경찰 : 급식하고 나서 이틀 있다가 저녁에 누워 있는데 갑자기 오한이 나고 열도 나고…

    ● 기자: 이에 따라 보건원은 지난달 23일부터 해당 업체가 납품한 도시락 8,000여 개의 납품경로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질파문이 확산되면서 도시락이나 김밥 관련 업계에도 불똥이 튀었습니다.

    ● 금은숙: 사먹게 되는 건 안 사 먹게 되는 것 같고 좋아하니까 직접 많이 싸먹거나 아니면 더 줄어들겠죠, 아무래도 먹는 횟수가…

    ● 기자: 업체들은 청결한 위생 상태를 강조하면서도 이번 파문이 언제까지 계속될지 걱정입니다.

    ● 김종식(한솔 도시락 전무): 모든 직원들은 월 1회 이상 용변검사를 함으로써 위생적인 것에 우리가 만전을 기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 기자: 도시락 업체와는 아무런 관련도 없는 김밥전문점까지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 엄기순(김밥전문점 운영): 우리 집이 아니더라도 김밥이 한 번 뭐 있다고 하면 타격이 커요.

    사람들이 굉장히 예민하거든요, 먹는 거기 때문에…

    ● 기자: 고궁이나 병원의 매점들은 김밥을 아예 취급하지 않는 등 이번 이질 파문은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국립보건원은 앞으로도 이질 환자가 계속 늘어날 것에 대비해 환자들에 대한 격리치료는 물론 2차 감염을 막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형문 기자)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