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73년 간첩혐의 최종길 교수 7층서 밀어 타살 증언[김재용]

73년 간첩혐의 최종길 교수 7층서 밀어 타살 증언[김재용]
입력 2001-12-10 | 수정 2001-12-10
재생목록
    [7층에서 밀었다]

    ● 앵커: 오늘 세계인권선언 기념일인데 인권유린 소식을 전하게 됐습니다.

    지난 73년 중앙정보부에서 간첩혐의로 조사를 받다가 자살한 것으로 발표가 됐던 서울법대 최종길 교수가 타살됐다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중앙정보부 직원이 7층에서 떠밀어서 살해했다는 것입니다.

    김재용 기자입니다.

    ● 기자: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신독재 체제가 시작된 지 1년이 지난, 지난 73년 10월 19일.

    서울법대 최종길 교수의 사망 당시 현장사진입니다.

    중앙정보부는 최 교수를 사망 사흘 전인 10월 16일, 독일 유학 시절 유럽거점 간첩단 사건과 관련해 소환 조사 중이었습니다.

    중정은 최 교수가 간첩이라고 자백한 뒤 7층 화장실 창문을 통해 뛰어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진실을 영원히 숨길 수는 없었습니다.

    최 교수의 사인이 타살이었다는 사실이 무려 28년만인 오늘에야 밝혀진 것입니다.

    ● 김형태(의문사 진상규명위 상임위원): 공공은 사고 직후 나를 비상계단으로 끌고 가더니 양손으로 미는 시늉을 하면서 여기서 밀어 버렸어 라고 말하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 기자: 여기서 주목할 점은 밀었다는 대목으로 최 교수가 자살했다는 당시 중앙정보부의 공식발표를 완전히 뒤집은 것입니다.

    의문사위원회는 또 당시 중정에 의해 작성된 현장검증조서 등 5개 문건도 모두 위조됐다고 밝혔습니다.

    현장검증에 나섰다는 인사들은 실제로 현장에 나타나지도 않았고 사망진단서 또한 가짜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논란의 여지는 남아있습니다.

    당시 최 교수를 밀어뜨린 수사관의 말을 전해 들었다는 직원은 이미 사망했습니다.

    이후락 당시 중앙정보부장과 김치열 차장도 노환 등의 이유로 위원회의 소환 요구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최광준 교수(故 최종길 교수 아들): 개정의 요구는 아직도 끊임없이 유가족 쪽에서 하고 있는 거고요.

    ● 기자: 최 교수 사망의 진실이 드러난다 해도 공소시효가 지나 책임자 처벌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유족과 시민단체들은 반인륜적 범죄의 경우에는 공소시효를 배제하는 국제 조약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김재용 기자)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