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의 이농현상, 60년대 이후 계속]
● 앵커: 우리 농촌의 이농현상은 지난 60년대 이후 계속 그 추세가 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사회학자들은 이와같은 인구 불균형이 결국 지역의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나아가서 지방자치까지 위협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임대근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작년 한햇동안 주민등록지를 옮겨 이사간 사람은 모두880만명.
인구 백명중 20명에 가까울 정도로 이동률이 높았습니다.
특히 郡지역에서 市지역으로 이사한 사람이 그 반대 경우보다 훨씬 많아서 16만4천명이도시지역으로 이동했습니다.
● 조휘갑 조사국장 (통계청): 아직도 그 취업기회나 교육 등 생활여건이 좋은 대도시지역으로 인구집중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기자: 이같은 인구 이동으로 작년말 농가인구는 520만명으로한햇동안 24만명이 줄었습니다.
지난 88년이후 6년동안 2백만명이 도시로 떠난것입니다.
전체 인구중 농촌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81년에 26%에서 작년엔11.
6%로 줄었습니다.
질높은 젊은 노동력이 빠져나가면서 고령화가 가속화 돼농촌의 발전 가능성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농촌인구의 감소는 공업화 과정에서 불가피한 현상이지만 인구 불균형이 지역간의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킨다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작년에 대도시를 제외한 전국 각지에서 서울과 경기도로 이사한 사람은 만명에서3만명까지로 전체 이동 인구의 절반정도가 수도권에 집중됐습니다.
● 김익기 교수 (동국대 사회학과): 농촌의 불균형과 농촌의 상대적인 피폐를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는데 지방자치를 실시한다 하더라도 이런 불균형이 그대로존속하는 상태에서 지방자치가 실시된다고 하면 지방자치 실시하는 의미가 퇴색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 기자: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앞두고 대도시에 집중된 투자를 농어촌 지역에 돌려서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는 일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MBC뉴스 임대근입니다.
(임대근 기자)
뉴스데스크
농촌의 이농현상, 60년대 이후 계속[임대근]
농촌의 이농현상, 60년대 이후 계속[임대근]
입력 1995-05-16 |
수정 1995-05-16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