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사회
기자이미지 공윤선

필수의료 사망사고, 합의하면 불기소‥국가 배상 책임도 확대

필수의료 사망사고, 합의하면 불기소‥국가 배상 책임도 확대
입력 2025-03-19 20:27 | 수정 2025-03-19 20:28
재생목록
    필수의료 사망사고, 합의하면 불기소‥국가 배상 책임도 확대

    자료사진

    정부가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의료 행위 중 발생한 사망사고에 대해 유족과 합의하면 의료진의 형사 처벌을 면하게 하는 특례 도입을 검토합니다.

    또 필수의료에 한해 단순 과실로 환자가 사망한 사고에 대해서는 사고 당시의 긴급성과 구명 활동 등을 고려해 형을 줄이거나 면제할 계획입니다.

    이 밖에도 공적 의료사고 배상·보상 체계를 구축해 의료사고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합니다.

    정부는 오늘 오후 제8차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을 심의·의결했습니다.

    정부는 우선 필수의료에 대한 사법 보호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의료계, 수요자, 법조계 등에서 약 20명의 위원이 참여하는 의료사고심의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위원회를 통해 사고 발생 시 최장 150일 안에 필수의료 행위인지, 중대 과실이 있었는지 등을 심의하고 심의 중에는 의료진 소환 조사를 자제하도록 법제화합니다.

    의료 사고에 따른 사망 사건은 1심 판결까지 평균 소요 기간이 다른 형사 소송보다 긴 42개월이나 돼 의료진이 고위험 필수진료를 꺼리는 현실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심의위는 또 수술 부위 착오 같은 중대 과실이 아닌 의료진의 가벼운 과실은 기소 자제를 권고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이밖에 중대 과실 여부로 사고 책임을 따지는 '의료사고 특화 사법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다만 이 사법체계는 의료기관의 책임보험 가입, 의료분쟁 조정제도 참여, 진료기록 교부 여부 등을 전제로 적용합니다.

    정부는 이를 토대로 환자-의료진 간 조정 성립·합의에 따라, 환자가 원하지 않으면 가급적 의료진을 처벌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경상해에만 적용하는 반의사불벌 범위를 중상해까지로 확대하고, 사망사고는 중대성을 고려해 필수의료에만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합니다.

    논란이 거센 사망사고의 경우 향후 국회 입법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를 통해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단순 과실에 따른 필수의료 사망 사고에 대해서는 사고 당시의 긴급성과 구명 활동 등을 고려해 형을 감경·면제합니다.

    정부는 의료사고에 대비해 모든 의료기관이 책임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하고, 5억 원 이상 필수의료 특별배상 등 공적 기능을 강화한 보험상품 등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특히 의료기관별로 합리적인 보험료율을 산정해 저위험·고위험 진료과 간 보험료율 격차를 평준화하고, 고위험 필수의료는 고액 배상도 보장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환자 사망 등 중대 사건은 의료분쟁조정제도의 조정 결과에 따라 보험자가 배상금을 반드시 지급하게 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올해부터 필수진료과에 보험료를 지원하고, 최대 3억원까지 국가가 지원하는 불가항력 사고 보상도 분만 외의 다른 과목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 의료사고 예방 체계·활동 등을 책임보험료 산정, 의료분쟁조정 판단 근거로 활용해 의료기관이 사고를 예방하도록 유도합니다.

    아울러 사고 초기 환자와 의료진 간 의료사고 설명·소통을 법제화하고, 의료진의 유감 표현 등이 수사나 재판 과정에서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도록 제도화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사고 시 환자와 의료진의 트라우마를 고려해 심리 상담, 소통 관련 교육 등도 지원합니다.

    의료분쟁조정제도에서는 의료인 복수·교차 감정을 도입하고, 감정위원 후보 규모를 기존 300명에서 1천명으로 늘림과 동시에 '국민 옴부즈맨' 등을 설치해 분쟁조정체계의 투명성을 높일 방침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