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위원은 오늘 한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재 풀만 보면 한국이 미국보다 못할 게 없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장 위원은 먼저 지난 2023년 미국의 1인당 노동 생산성을 100이라고 했을 때 한국은 59에 그쳤다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인용했습니다.
한국의 중고등학생 수학·과학 능력 시험 성적이나 지능지수(IQ)가 미국보다 월등하게 높은 것만 봐도 인재가 부족하기 때문은 아니라는 겁니다.
장 위원은 "미국은 재능 위주의 승진과 인력 배치로 잘하면 계속 맡긴다"며 "반면, 우리는 연공 서열, 학연, 지연, 혈연, 순환보직제를 중시한다"고 비교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에는 정년제가 사실상 폐지된 직장이 많다"며 "인품, 경험, 능력이 있으면 오래 모시려고 하고, 젊은이들도 그를 롤모델로 삼는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중국과 인도의 경우 현재 생산 설비를 효율적으로 배분하기만 해도 생산이 지금의 2배에 이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장 위원은 특히 "정규직 근로자의 과도한 고용 보호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며 "고용시장 유연화는 경기 확장기에 생산과 고용을 5% 정도 증가시킨다"고 말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