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24년 김장 의향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 550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온라인 조사를 진행한 결과 김장 의향에 대해 "작년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답한 비율이 35.6%를 기록했습니다.
'작년과 비슷하게 할 것'이라는 비율은 54%, '작년보다 증가할 것'은 10%를 차지했습니다.
김장 의향 감소 이유로는 '김장 비용 부담'이 42.1%로 가장 높았으며, '가정 내 김치 소비량 감소' 29.8%, '시판 김치 구매 편리성' 15.2%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4인 가족 기준 배추 김장 규모는 18.5포기로, 지난해(19.9포기)나 평년(21.9포기)보다 감소했으며, 무 역시 8.4개로 전년(8.5개)과 평년(8.6개) 대비 소폭 줄었습니다.
배추 가격 부담에 김장 시기를 늦추는 소비자도 늘었습니다.
11월 하순 이후 김장하겠다는 응답이 62.3%로 지난해(59.6%)보다 증가했고, 11월 중순(22.9%)과 12월 상순(21.6%)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12월 중순 이후 김장하겠다는 응답도 11.5%로, 지난해(8.6%)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통상 김장 시기는 11월 상순 시작되지만, 배추 가격이 높아 12월 중순 이후 김장하겠다는 의향이 증가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