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검찰이 지난달 말부터 전 육군 중앙수사단장의 횡령의혹이 담긴 '투서' 사건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으나 난항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한 소식통은 25일 "군 검찰이 국방부 감사관실에서 재조사 중인 횡령의혹 투서 사건에 대한 고강도 수사를 진행하고 있으나 혐의를 입증할 결정적인 단서를 아직 확보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감사관실과 군 검찰은 작년 12월 인사 때 진급한 이모 예비역 준장이 2007∼2008년 수방사 헌병단장(대령) 시절 1억2천여만원의 부대운영비를 횡령해 백화점 상품권 등을 구입, 진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위 장성들을 상대로 로비를 벌였다는 투서 내용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특히 군 검찰은 부대운영비를 조성한 경위와 사용처를 캐기 위해 계좌를 추적하고 관련 영수증 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수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소식통은 "당시 자금을 소액으로 나눠 집행한 영수증은 제대로 보관돼 있는 편"이라면서 "다만, 관련자들이 사용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기억나지 않는다고 진술해 단서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이번 투서 사건에 대해 시한을 두지 말고 철저히 진상을 가려 부조리가 적발되면 처벌에 그치지 않고 개혁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고강도 수사를 여러 차례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육군은 군 검찰의 헌병 투서사건 수사와 별개로 일선 부대의 헌병 장교들에 대한 기강점검 작업도 펼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헌병 병과 장군이 맡았던 관례를 깨고 육군 수사단장에 임명된 보병 출신 김종출(육사35기) 소장이 기강점검 작업을 주도하고 있다는 것이 군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육군 관계자는 "김 장관과 김상기 육군총장의 개혁의지에 따라 김 소장이 발탁된 것"이라면서 "그간 감춰졌던 일부 야전 부대 헌병 장교들의 비리 의혹이 드러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2000년대 초반에도 공병병과의 일부 장성과 장교들의 비리의혹이 불거지자 공병 병과 장성이 아닌 다른 병과 장성을 공병감에 임명한 사례도 있다"면서 "이번에 고강도 헌병 개혁이 이뤄질지 군 안팎에서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
서울=연합뉴스

'헌병 투서사건' 군검찰 수사 난항
'헌병 투서사건' 군검찰 수사 난항
입력 2011-04-25 18:02 |
수정 2011-04-25 18:02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